반려동물을 키우고 싶어 하는 아이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다면,
부모로서는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려동물 알레르기는 아이의 면역 체계가 특정 단백질에 과민 반응을 보이면서 발생하는데,
올바른 진단과 관리 방법을 적용하면 반려동물과 함께 생활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아 반려동물 알레르기의 원인과 진단법, 알레르기 반응이 덜한 동물,
치료 및 관리 방법과 함께, 우리 전통적인 반려동물 알레르기 완화법, 예방접종 및 생활환경
개선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소아 반려동물 알레르기의 원인과 진단 방법
1) 반려동물 알레르기의 원인
반려동물 알레르기는 개, 고양이를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려동물의 비듬(각질): 피부에서 떨어지는 작은 각질이 공기 중에 떠다니며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침과 소변 속 단백질: 개와 고양이의 침과 소변에 포함된 특정 단백질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털과 먼지: 반려동물의 털 자체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털에 묻어 있는 비듬,
꽃가루, 먼지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소아 반려동물 알레르기 증상
알레르기 증상은 가벼운 불편함부터 심각한 호흡기 문제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1) 호흡기 증상
- 재채기, 콧물, 코막힘
- 기침 및 천식 증상 (숨이 차거나 쌕쌕거림)
- 눈과 코의 가려움증
(2) 피부 증상
- 피부 발진, 두드러기
- 가려움 및 붉은 반점
(3) 기타 증상
- 눈물 흘림, 눈 충혈
- 심한 경우 아나필락시스 반응(응급 상황)
3) 소아 반려동물 알레르기 진단법
반려동물 알레르기는 여러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피부 단자 검사 |
소량의 반려동물 알레르겐을 피부에 도포한 후 반응을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15~20분 이내에 알레르기 반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혈액 검사 |
혈액 내 특정 항체(IgE)의 수치를 측정하여 반려동물 알레르기를 진단합니다. |
도전 시험
|
의료진의 감독하에 반려동물과 일정 시간 접촉한 후 증상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알레르기 반응이 덜한 반려동물은?
1) 저 알레르기성 개 품종
- 푸들: 털이 빠지지 않고 곱슬거려 비듬이 날리는 양이 적음.
- 포르투갈 워터독: 털이 빠지지 않아 저 알레르기성 반려견으로 적합.
2) 저 알레르기성 고양이 품종
- 러시안 블루: Fel d 1 단백질 분비량이 적어 알레르기를 유발할 확률이 낮음.
- 시베리안 고양이: Fel d 1 단백질 수치가 일반 고양이보다 낮음.
- ( Feld 1:고양이 알레르기의 주원인인 타액에 들어있는 단백질)
3) 털이 없는 동물
- 물고기, 거북이, 도마뱀 등의 파충류
- 햄스터, 기니피그, 토끼(단, 소변에서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 있음)
우리 전통적인 반려동물 알레르기 완화법
1) 한방 차와 약재
도라지차: 기침과 가래를 완화하고 기관지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어 반려동물 알레르기로 인한
호흡기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생강차: 면역력 증진 및 염증 완화 효과가 있어 꾸준히 마시면 알레르기 반응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2) 한방 찜질법
쑥찜질: 쑥을 데운 후 천으로 감싸 목과 가슴 부위에 찜질하면 알레르기로 인한 호흡기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3) 실내 환경 관리
솔잎 훈증: 솔잎을 삶아 그 증기를 실내에 퍼뜨리면 공기 중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소아 알레르기 예방접종 및 생활환경 개선
1) 알레르기 예방접종(면역 요법)
소량의 알레르겐을 지속적으로 투여하여 면역 체계를 적응시키는 치료법으로, 3~5년 동안
꾸준히 진행해야 합니다.
공기 중 알레르겐 | 집먼지 진드기: 이불, 카펫, 소파 등에 서식하며 가장 흔한 알레르겐 중 하나 꽃가루: 계절성 알레르기(예: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의 주요 원인 애완동물 털 및 비듬: 개, 고양이 등의 털과 피부에서 떨어지는 미세한 입자 곰팡이 포자: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증식하며 천식 등을 유발할 수 있음 |
음식 알레르겐 | 견과류(땅콩, 아몬드, 호두 등) 우유 및 유제품(락토스 불내증과는 다름) 계란 해산물(새우, 게, 조개류 등) 밀(글루텐) |
접촉성 알레르겐 | 금속(니켈, 크롬 등): 귀걸이, 시계, 벨트 버클 등에 포함 라텍스: 고무장갑, 풍선 등에 사용됨 화장품 성분: 방부제, 향료 등이 피부 알레르기를 유발 |
약물 알레르겐 | 항생제(페니실린 계열) 소염진통제(NSAIDs, 아스피린 등) 조영제(CT, MRI 검사 시 사용) |
반려동물 알레르기뿐만 아니라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등에도 효과적입니다.
2) 생활환경 개선 방법
- 침실에 반려동물 출입 금지
- 공기청정기(HEPA 필터 사용) 설치
- 반려동물 주기적으로 목욕 및 빗질
- 카펫, 패브릭 소품 최소화
- 실내 습도 조절(40~50%)
아이의 반려동물 알레르기, 극복할 수 있을까?
반려동물 알레르기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반려동물을 포기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정확한 진단을 통해 알레르기 원인을 파악
- 저 알레르기성 반려동물 선택
- 약물 치료 및 면역 요법으로 증상 완화
- 우리 전통적인 방법(한방 차, 찜질, 훈증법) 활용
- 예방접종 및 생활환경 개선을 통한 알레르기 최소화
적절한 관리와 치료를 병행하면, 알레르기 증상을 줄이면서 반려동물과 행복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